본문 바로가기

우리 조상님이 후손을 위해...

고종 황제 경호원은 왜 해시계를 품고 다녔을까

고종 황제 경호원은 왜 해시계를 품고 다녔을까

노형석 입력 2022. 08. 18. 09:05 수정 2022. 08. 18. 14:55 
국외소재문화재재단, 18일 '일영원구' 공개
고종의 호위무관 상직현의 제작품으로 밝혀져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 둥근 공 모양의 반구 두개가 맞물린 몸체와 기둥, 받침으로 이뤄져 있다. 1890년 고종의 호위무사였던 상직현이 만들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상직현(尙稷鉉)은 대체 어떤 인물이었을까? 19세기 말 고종 임금 곁을 지켰던 호위무사 ‘별장’(別將)의 낯선 이름이 문화재 동네의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그가 품에 넣고 다니며 경호 일정을 맞추는 데 썼으리라 추정되는 휴대용 해시계가 미국을 떠돌다 고국에 돌아왔기 때문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지난 3월 미국 현지 경매에서 19세기 말 고종의 호위군관을 지낸 상직현의 낙관이 새겨진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日影圓球)를 낙찰받아 환수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날 오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될 예정인 ‘일영원구’는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휴대용 해시계다. 동과 철로 만들었는데, 높이 23.8㎝, 지름 11.2㎝인 둥근 공 모양의 반구 두개가 맞물린 몸체(구체)와 기둥, 받침으로 이뤄져 있다.

 

한쪽 반구에 ‘대조선 개국 499년 경인년 7월 상순에 새로 만들었다’(大朝鮮開國四百九十九年庚寅七月上澣新製)는 명문 기록과 함께 ‘상직현인’(尙稷鉉印)이란 도장 날인이 새겨져, 1890년 7월 상직현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고종실록>과 <승정원일기>를 보면 그는 고종의 곁을 지킨 측근 무관이었다. 고종 재위기 국왕의 호위와 궁궐, 도성의 방어를 맡은 군사기관인 총어영(摠禦營)의 군관 직위인인 별장과 별군직(別軍職) 등에 임명됐던 당대의 특급 경호원이었다.

 

고종을 밀착경호한 상직현은 해시계를 품에 넣고 다니면서 어떻게 시간을 쟀을까. 일영원구의 시간 측정 방식은 자못 흥미롭다. 우선 구체 표면엔 시시각각 각도가 바뀌는 햇빛을 받아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때를 일러주는 뾰족한 막대 모양의 영침(影針)이 붙어있다. 구체의 한쪽 반구에는 12지의 명문과 96칸의 세로선으로 시각을 표시해 놓았다. 하루를 12시 96각(刻·15분)으로 표기한 조선 후기의 시각법을 따른 것이다. 이채로운 건 반구의 정오(正午) 표시 부분에 뚫린 ‘시보창’(時報窓)이란 구멍이다. 시시각각 바뀌는 태양 움직임에 따라 다른 쪽 반구를 움직이면, 이 구멍에 12지의 시간 표시인 시패(時牌)가 나타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의 한쪽 반구 표면. 한가운데 ‘정오’(正午) 표시 아래에 둥근 구멍인 시보창(時報窓)이 뚫려 있다.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다른 쪽 반구를 움직이면, 이 창에 12지의 시간 표시인 시패(時牌)가 나타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세간에 알려진 조선시대의 대형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는 한 지역의 시간만 측정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일영원구는 둥근 공 모양의 반구 두개가 다양한 각도로 맞물려 움직이면서 각종 장치로 위도를 조정해 어느 지역에서나 시간을 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햇빛을 받는 구체 아래쪽 받침기둥의 다림줄로 해시계가 안정된 수평 상태에 놓였는지를 가늠해 맞추고, 나침반으로 방위를 측정해 북쪽을 향하게 한 뒤 구체에 달린 조절 장치로 위도를 조정할 수 있게 했다. 이어 구체 표면에 일자로 파인 홈 속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걸대(횡량)의 그림자를 홈 속에 들어가도록 움직여 맞추는 방식으로 현지시각을 파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영원구’의 몸체 옆에 달린 위도 조절 장치. 이 장치를 조작해 어느 지역에서든 시간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일영원구’의 몸체 표면에 일자로 파인 홈 속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걸대(횡량)의 모습이다. 햇빛에 비친 걸대의 그림자가 홈 속에 들어가도록 걸대를 움직여 맞추는 방식으로 현지시각을 파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학계는 일영원구가 국보인 조선 전기의 자격루와 혼천시계에도 보이는 12지 시간 알림 장치를 둔 점에서 조선의 전통 과학기술을 계승했다고 평가하면서 국외 교류가 급증한 구한말 상황에 맞게 다른 나라에서도 쓸 수 있도록 고안한 유물로 추정하고 있다.

 

금속공예품의 미감 또한 뛰어나다. 구체를 받친 기둥 아래 쪽 받침판은 네개의 꽃잎 모양이다. 여기에 은으로 된 문양을 새겨 넣는 상감입사기법으로 시각을 상징하는 日(일)·月(월)이란 글자와 항해중인 배의 모습을 표현해 예술적 품격까지 갖췄다.

 

이 유물이 어떻게 나라 밖으로 흘러나갔는지는 모른다. 원래 소장자가 일본 주둔 미군 장교였으며, 그가 숨진 뒤 유족한테서 개인소장가가 입수해 경매에 냈다는 정보만 알려졌다. 재단은 지난해 말 유물의 경매 출품 정보를 입수한 뒤 관련 문헌 등을 조사하며 환수 준비 작업을 벌였고, 지난 3월 미국 현지의 한 경매에서 유물을 낙찰받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일영원구’의 몸체를 받친 기둥 아래 쪽 받침판은 네개의 꽃잎 모양이다. 은으로 된 문양을 새겨 넣는 상감입사기법으로 시각을 상징하는 日(일)·月(월)이란 글자와 항해중인 배의 모습을 표현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이 해시계를 품에 갖고 다니며 고종 곁을 지켰던 호위무사 상직현은 생몰연대를 모르지만, 여러모로 눈에 띄는 행적을 역사 기록에 남겨놓았다. 1881년에 조선 정부의 일본 견문시찰단인 수신사 일행으로 파견돼 현지에서 근대 문물을 접했고, 이후 지방관직인 적성현감과 창원부사를 거쳐 1888~1897년 고종의 측근 경호원인 별장과 별군직을 수행했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은 덕분인지 1903년 대한제국의 국방 무기 관리를 담당하는 군부 포공국장에 임명되는데, 재직 당시 대한제국 최초의 증기선 군함 양무호를 일본 미쓰이물산으로부터 사들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의 아들 상운은 근대 전기기술을 배운 엔지니어로 청나라에 영선사로 파견돼 국내 최초로 전화기를 들여온 주역이기도 했다. 이런 사실들로 미뤄 상직현은 독창적 발명품인 일영원구를 품에 지닐 만한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일영원구는 19일부터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 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문화재 환수 특별전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새달 25일까지)에 지난달 환수된 조선 왕실 유물 ‘보록’과 함께 추가 출품작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 둥근 공 모양의 반구 두개가 맞물린 몸체와 기둥, 받침으로 이뤄져 있다. 1890년 고종의 호위무사였던 상직현이 만들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해시계 일영원구?

 

네 개의 꽃잎 형태로 제작된 받침에는 용, 선박, 글자 ‘일’(日) ‘월’(月) 등이 상감돼 있는 등 주조 기법과 장식 요소도 돋보인다.

 

예술 작품은 작가의 생각이나 사상을 우리들에게 전달 하고 있는 것입니다.

 

해시계 일영원구는 우리 조상님중에 선지식인분께서 우리들에게 보고 깨닫고 살아가라는 메세지를 주고 있는 타임캡슐 인것입니다.

 

잘난 너 해시계 일영원구를 보고,생명(네 개의 꽃잎)은 세월가면(해시계) 누구나 삶()과 죽음()이 있으니,삶과 죽음을 깨닫고 죽음을 벗어나는 방법이 배(선박)를 물 위에 띄우고 살아 가는것에 있으니(물에 앉는것에),배를 물 위에 띄우고 살며(세숫대야 물에 앉으며 살며),물에서 하늘로 승천하는 용(龍) 처럼 잘난 너 하늘로 승천하고 잘 살아가라는 메세지를,우리 조상님중에 선지식인분께서 "해시계 일영원구" 조형물로 오랜 세월동안 우리들에게 주고 있는 타임캡슐 인것입니다.

 

문화재청 등에 따르면 ‘고종실록’과 ‘승정원일기’ 등에는 상직현이 총어영(摠禦營) 별장(別將)과 별군직(別軍職)에 임명됐다는 기록이 나온다. 임금의 호위와 궁궐이나 도성 방어를 담당하는 무관을 일컫는다. 

 

경호원 [警護員]

어떤 사람을 위험한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가까이에서 경계하여 지키는 사람

 

잘난 너 상직현 죽음을 보고,"죽음"을 방어하고 살아 가는것을 깨닫고 살아가라는 메세지를 주고 있는 것입니다.

 

 

옛날에 문맹의 일반인들은 글을 봐도 읽을수도 없었고 뜻도 알수가 없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무지無知한 사람들이 무엇을 알겠어요?

 

무지 無知
1.아는 것이나 지식이 없음
2.미련하고 어리석음.

 

옛날에 종이와 붓이 흔하지 않던 시절 선지식인분이 계셨는데,자신의 지식을 말을 해 줘도 알아 듣지를 못하니,자신의 지식을 후손들에게 전傳 해야 하는데 전傳 하는 방법이 없다 보니 문화,풍속,종교,건축물,암각화,조형물(해시계 일영원구),이름 등으로 메세지를 주고 보고 깨닫고 살아 가라고 전傳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우리는 이런 사실을 모르고 살다 죽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것을 두고 "달을 보라고 손가락을 가리키고 있는데,달은 안보고 손가락만 보고 살다 죽어가고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저런것이 선지식인분께서 후손들을 공부 시키는 방법 이었던 것입니다.

 

지금 시대에도 대한민국 과 세계에 글을 잘 이해 하지 못하는 문맹들이 많습니다.

 

당신 스스로 눈을 뜨고 살아 가야 하는 것입니다.

 

이와같아,

 

해시계 일영원구는 우리 조상님의 깊은 뜻을 후손들에게 전傳 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 조상님의 지혜와 지식은 존경과 감탄을 금禁 할수가 없는 것입니다.

 

알아 들으려나...

 

이런 사실들을 말을 안해주면,아무것도 모르고 살다 죽으니 말을 안해줄수도 없고...글을 이해를 시키려니 어렵네...(넋두리)

 

넋두리
1.하고 싶은말이 마음속에 있을 때 하소연하듯 길게 늘어놓는 말

가정에서 돌봄을 받는 환자를 100만 명으로 추산한다. 20가구 가운데 한 가구는 누군가의 집에서 아픈 가족을 돌보는 것이다.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가족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밥을 떠먹이고 욕창을 막으려 체위를 바꾸는 중노동을 일상처럼 반복한다.⟨==젊어서부터(20代) 건강을 지키며 살아야,이런 불행에서 벗어나 살아 갈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당신의 건강을 지키며 살아 가는것을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DNA는 끊임없이 손상된다.

우리 46개의 염색체 각각은 DNA를 복제할 때마다 하루에 2조번 넘게 끊긴다.

거기다 자연 방사선, 화학물질, 병원의 엑스선과 CT에도 끊긴다.

문제는 후성 유전인자가 이 손상을 복구한 뒤 원래 유전체로 돌아가지 않는 데 있다.

그러면서 엉뚱한 때와 장소에서 엉뚱한 유전자가 켜지며 그 결과 세포는 정체성을 읽고 기능 이상에 빠진다는 것이다.

이 혼란을 저자는 ‘후성 유전적 잡음’이라 부른다.

그는 피아니스트(후성유천제)가 그랜드 피아노(유전체)의 건반(유전자)을 실수로 계속 잘못 눌러 연주회를 망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이 후성유전적 잡음이 우리가 늙고 병드는 이유이자 갖가지 노화의 징표가 나타나는 원인이다.

 

DNA는 끊임없이 손상된다!

세숫대야에 따뜻한 물을 받아 앉아만 계십시요(좌욕).<==몸안에 노폐물(똥)을 빼내는 방법입니다.

손상된 DNA를 회복 시키는 방법 입니다.

몸안에 노폐물(똥)을 빼내면,몸이 회춘 과정을 겪어 점점 젊어져 20대로 다시 돌아 가게 돼는 것입니다.

그래서,물에 앉는것을 실행 하면,건강을 지킬수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하루에 오전,오후30분이상 실행 하며,매일 습관을 들이는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물에 앉으며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오래 앉아 있을수록 좋으며,1분1초라도 더 물에 앉으면 자신에게 좋은 것이나, 힘이들때는 쉬어가면서 하세요)<==이것도 못해 먹겠다고요?

아픈것도 못 아프겠다고 해서 않 아플수 있으면 좋으련만,죽는것도 못 죽겠다고 해서 않 죽으면 좋으련만,마음대로 않되지요.

모든 병든자,장애인분은 현대 의학의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과 병행해서 실행 하십시오.

인연이 있으면 기쁨이 있게 될것입니다.

정상인 처럼 생활 할수있게 될것입니다.

실행과 극복 없이 기쁨은 없습니다.

사람마다 각자 처한 상황이 다르니 모두에게 꼭 좋은일이 있다고 말씀 드릴수는 없으나,인연있는 사람에게는 기쁨이 있을 것입니다.

죽고 싶지 않은 사람은 실행하며 살아 가십시오.

늙으면 병들고 고통..

나이들어서 질병의 고통과 죽음에서 벗어나려면 젊어서부터(20代) 정신 차리고 건강을 지키고 살아가야 합니다.

단,노력과 극복없이 기쁨은 얻을수 없습니다.

고난 없이 영광 없습니다.

대단히 잘난 당신이 죽음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있다면,물에 앉는것을 실행 않하고 살아도 됩니다.

그냥 살다가 죽지 하고 생각하는 사람은,물에 앉는것을 실행 않하고 살아도 됩니다.

안 먹고 사는 사람은 물에 안 앉아도 됩니다.

그러나,

대단히 잘난 당신이 죽음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없다면,물에 앉는것을 실행 하고 살아가십시오.

그냥 살다가 죽을 생각이 없는 사람은,물에 앉는것을 실행 하고 살아가십시오.

먹고 사는 사람은 물에 앉으며 살아야,건강을 지키고 살아갈수 있게 될 것입니다.

 

세숫대야에 따뜻한 물을 받아 자신 건강을 지키고 살면,돌아 댕길 일도 없고,돌아 댕기질 안으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될 일이 없는 것입니다.

"잡히면 죽어" 신지, 김종민·빽가에 '분노'..24년째 그대로 (안다행)[전일야화]

https://blog.daum.net/mbbbk/7970027(클릭)

 

"그냥 사라지고 싶다"..칼 라거펠트, 유지 따라 장례식 없이 화장

https://blog.daum.net/mbbbk/7968682 (클릭)

 

보통 대장 용종은 50대 이상 남성에게서 많이 발견된다. 변정식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대장 용종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발생 빈도가 늘어난다"며 "40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선 매우 드물며 40-50대에서 빈도가 높아진다"고 밝혔다.

성별에 따라 발생률에도 차이가 나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1.5~2배 정도 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어 그는 "일반적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고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40대 10~20%, 50대 20~30%, 60대 이상부터는 30~60%까지 선종성 용종이 발생한다"

"40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선 매우 드물며 40-50대에서 빈도가 높아진다"고 밝혔다.

나이들면 누구도 외로움,질병,늙음,죽음에서 벗어날수 없고,벗어나려면 젊어서부터 건강 지키며 살아 가야 합니다.

세숫대야에 따뜻한 물을 받아 앉아만 계십시오(좌욕).

건강을 지킬수 있습니다.오전,오후30분이상 매일 실행 하십시오.

"40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선 매우 드물며 40-50대에서 빈도가 높아진다"고 밝혔다.

젊어서부터(20代) 건강을 지키며 살아야,40-50대에서 질병의 고통과 죽음의 불행에서 벗어나 살아 갈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선지식인 말씀!

※ "저작권침해"소지시 연락주시면 삭제 하겠습니다.